전체 글322 MIPS32 Tcpdump Binary File 임베디드 장비에 붙어서 네트워크 패킷을 캡쳐 하려고 하면 장비가 MIPS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tcpdump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Cross Compile를 하거나 mips32로 Compile된 File을 사용해야 함 MIPS Binary FIle Cross Compile Command CC=mips-linux-gnu-gcc ./configure --prefix=/home/kali/bb/ --host=mips-linux-gnu 2022. 8. 20. URI, URL, URN의 차이점 URI, URL, URN은 비슷한 이름만큼 헷갈리는 개념입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URI은 URL과 URN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입니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입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주소가 URI이기 때문에 URL과 URN은 자동으로 URI에 포함됩니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입니다. 과거에는 사용되는 주소가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Rewrite 또는 URI Pattern 매칭을 통해 실행되는 서비스(REST 서비스) 등이 새로 생겨나면서 URL 보.. 2022. 8. 17. [Android] Content Provider 취약점 먼저 Content Provider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읽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Android] 4대 Component Android에는 앱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4개의 구성 요소(Component)가 존재하는데 이를 4대 Component라고 부릅니다. 4대 Component는 Activity(액티비티), Service(서비스), BroadCast Receiver(방송 수신자), Cont.. hacksms.tistory.com 간단히 정리하자면 Content Provider는 서로 다른 Application에서 저장된 Data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Component 입니다. 만약 A 앱에 구현된 Content Provider를 모든 앱에서 접근할 수 있다면, C.. 2022. 8. 10. [Android] DeepLink 취약점 (WebView Hijacking Via DeepLink) 먼저 WebView와 DeepLink가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먼저 보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Kotlin] WebView 사용 방법 WebView WebView란 프레임워크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 Component로써 View 형태로 App에 임베딩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WebView는 App 안에서 HTML을 호출하여 App을 구현하는 Hybrid 형태의 App을 개발하는 hacksms.tistory.com [Kotlin] 딥링크 (DeepLink) 딥링크 (DeepLink) 딥링크란 단순하게 특정 페이지 또는 특정 콘텐츠에 직접적으로 도달할 수 모든 링크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Android에서 딥링크란 Custom Scheme와 같은 특정 주소를 통하여 앱을 실행 hacks.. 2022. 8. 7. [Kotlin] 딥링크 (DeepLink) 딥링크 (DeepLink) 딥링크란 단순하게 특정 페이지 또는 특정 콘텐츠에 직접적으로 도달할 수 모든 링크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Android에서 딥링크란 Custom Scheme와 같은 특정 주소를 통하여 앱을 실행하거나 앱의 특정 화면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Android에서 DeepLink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Custom Scheme과 host를 설정해야 합니다. Scheme:host:port/path = https://hacksms.tistory.com:443/14 Manifest.xml activity_second.xml SecondActivity.kt class SecondActivity : AppCompa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 2022. 8. 7. [Kotlin] WebView 사용 방법 WebView WebView란 프레임워크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 Component로써 View 형태로 App에 임베딩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WebView는 App 안에서 HTML을 호출하여 App을 구현하는 Hybrid 형태의 App을 개발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다만, PC환경과 OS가 다르기 때문에 HTML5 호환성 등 일부 기능의 제약을 가지고 있습니다. WebView 사용 방법 먼저 WebView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 대한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Manifest.xml 이후, WebView를 사용할 Activity와 해당 Activity의 Layout에 WebView 관련 코드를 추가합니다. activity_main.xml MainActivity.kt val webView = fi.. 2022. 8. 7. Docker 명령어 정리 Mac에서 도커 설치 $ brew install --cask docker Docker Hub에서 이미지 가져오기 docker pull [docker images] 이미지 목록 확인하기 # 일반 명령어 docker images docker image ls # 이미지 id만 보기 docker image ls -q # 전체 이미지 모두 보기 docker image ls -a 이미지 빌드하기 docker build [Options] [Docker File Path] 이미지 삭제하기 docker rmi [Image ID or Repository Name] docker image rm [Image ID or Repository Name] 이미지 세부 정보 확인하기 docker inspect [Image Name] .. 2022. 8. 6. 전자 서명 동작 과정 전자서명 전자서명이란 서명자를 확인하고 서명자가 해당 전자 문서에 서명했다는 사실을 나타내기 위하여 첨부되거나 논리적으로 결합된 전자적 형태의 정보를 의미합니다. - 서명자의 신분 증명 - 서명자가 서명했다는 사실에 대한 부인 방지 - 서명한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 전자서명 동작 과정 전자서명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키를 조회함 2. 전자문서(원문)의 데이터를 Hash 함수에 넣어서 Hash 값인 Digest를 획득함 3. Digest 값을 A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4. Encrypt Data, 전자문서(원문), A의 공개키를 검증자에게 전송 5. 전달 받은 Encrypt Data를 A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6. 전달받은 전자문서(.. 2022. 8. 6. [Android] 4대 Component Android에는 앱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4개의 구성 요소(Component)가 존재하는데 이를 4대 Component라고 부릅니다. 4대 Component는 Activity(액티비티), Service(서비스), BroadCast Receiver(방송 수신자), Content Provider(콘텐츠 제공자)로 구성되며 각 Component는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하고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Intent(인텐트)를 통해 상호작용 합니다. Activity (액티비티) Activity는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UI 화면을 구성하는 Component로써 앱의 화면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Application에서 Activity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 이.. 2022. 8. 5.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