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sl 취약점3 [CVE-2022-3786] OpenSSL punycode Decoding Vulnerability (Stack Buffer over Flow) 영향 받는 대상 OpenSSL 3.0.x Version (3.0.0 ~ 3.0.6) 취약점 전제 조건 해당 취약점의 경우 CA가 취약한 인증서로 서명되었거나 유효한 인증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통신을 진행할 경우에만 발생 가능한 취약점 입니다. 즉, 일반적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은 아닙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OpenSSL에서도 최초 취약점 등급이었던 Critical을 High로 다운그레이드 하였습니다. 취약점 분석 해당 취약점은 Punycode Domain의 인증서 확인 및 이름 제약 조건 검사 함수인 ossl_a2ulabel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Stack Buffer over Flow가 가능합니다. 다만, 덮어씌울 수 있는 값은 0x2e(.)으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ossl_a2ulabe.. 2022. 11. 3. [CVE-2022-3602] OpenSSL punycode Decoding Vulnerability (off-by-one) 영향 받는 대상 OpenSSL 3.0.x Version (3.0.0 ~ 3.0.6) 취약점 전제 조건 해당 취약점의 경우 CA가 취약한 인증서로 서명되었거나 유효한 인증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통신을 진행할 경우에만 발생 가능한 취약점 입니다. 즉, 일반적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은 아닙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OpenSSL에서도 최초 취약점 등급이었던 Critical을 High로 다운그레이드 하였습니다. 취약점 분석 해당 취약점은 Punycode Domain의 디코딩에 사용되는 함수인 ossl_punycode_decode에서 발생하며, 4Byte의 Stack Buffer Over Flow가 가능합니다. ossl_punycode_decode에서 디코딩된 punycode의 길이를 검증하는 로직은 다.. 2022. 11. 2. 11월 1일 Releases 될 OpenSSL 취약점 정보 OpenSSL에서 11월 1일 Critical 취약점에 대한 패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Forthcoming OpenSSL Releases mta.openssl.org 해당 취약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비공개되어 있어 정확하게 어떤 취약점인지는 알 수 없지만, OpenSSL에서 Critical 취약점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취약점 등급 설명 Critical 해당 취약점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격에서 서버 메모리 내의 광범휘한 공개(잠재적으로 사용자 세부 정보 노출), 서버 개인 키 손상, 임의 명령어 실행 등이 가능한 취약점들이 보통 해당 등급으로 결정됩니다. 즉, 일반적인 환경에서 서버 메모리 내 정보를 획득하거나 개인 키를 획득 및 손상 시키거나 임의 명령어.. 2022. 10.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