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penSSL punycode2

[CVE-2022-3786] OpenSSL punycode Decoding Vulnerability (Stack Buffer over Flow) 영향 받는 대상 OpenSSL 3.0.x Version (3.0.0 ~ 3.0.6) 취약점 전제 조건 해당 취약점의 경우 CA가 취약한 인증서로 서명되었거나 유효한 인증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통신을 진행할 경우에만 발생 가능한 취약점 입니다. 즉, 일반적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은 아닙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OpenSSL에서도 최초 취약점 등급이었던 Critical을 High로 다운그레이드 하였습니다. 취약점 분석 해당 취약점은 Punycode Domain의 인증서 확인 및 이름 제약 조건 검사 함수인 ossl_a2ulabel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Stack Buffer over Flow가 가능합니다. 다만, 덮어씌울 수 있는 값은 0x2e(.)으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ossl_a2ulabe.. 2022. 11. 3.
[CVE-2022-3602] OpenSSL punycode Decoding Vulnerability (off-by-one) 영향 받는 대상 OpenSSL 3.0.x Version (3.0.0 ~ 3.0.6) 취약점 전제 조건 해당 취약점의 경우 CA가 취약한 인증서로 서명되었거나 유효한 인증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통신을 진행할 경우에만 발생 가능한 취약점 입니다. 즉, 일반적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은 아닙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OpenSSL에서도 최초 취약점 등급이었던 Critical을 High로 다운그레이드 하였습니다. 취약점 분석 해당 취약점은 Punycode Domain의 디코딩에 사용되는 함수인 ossl_punycode_decode에서 발생하며, 4Byte의 Stack Buffer Over Flow가 가능합니다. ossl_punycode_decode에서 디코딩된 punycode의 길이를 검증하는 로직은 다.. 2022.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