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and injection2 [KVE-2020-0200,0202] YoungCart 1Day 취약점 분석 (Command Injection) 개요 해당 취약점은 unlink 인자로 사용되는 변수를 조작하여 data/dbconfig.php 파일을 삭제한 뒤, 재설치하는 과정에서 Command Injection으로 임의의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취약점 인 것 같습니다. (제보자가 어떤식으로 익스플로잇 했을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ㅎㅎ...) 취약점 관련 정보 정보 내용 취약 버전 Young Cart 2020. 9. 22. [KVE-2020-0656] YoungCart 1Day 취약점 분석 (Command Injection) 개요 KISA 버그 바운티를 진행하면서 항상 찾는 취약점들만 찾게 되는 것 같고, 시야가 좁아지는 느낌이라 취약점 패치 내역을 보고 1Day 취약점 분석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취약점 관련 정보 정보 내용 취약 버전 Young Cart mf_exec() -> exec() 와 같은 흐름을 따라 exec() 함수의 인자로 사용되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흐름에 따라 중요한 코드들을 간략히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shop/kcp/pp_ax_hub.php $tran_cd = $_POST[ "tran_cd" ]; // 43Line, 처리 종류 if ( $tran_cd != "" ){ // 247Line $c_PayPlus->mf_do_tx( $trace_no, $g_conf_home_dir, $g_conf_si.. 2020. 9.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