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3 MIPS32 Tcpdump Binary File 임베디드 장비에 붙어서 네트워크 패킷을 캡쳐 하려고 하면 장비가 MIPS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tcpdump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Cross Compile를 하거나 mips32로 Compile된 File을 사용해야 함 MIPS Binary FIle Cross Compile Command CC=mips-linux-gnu-gcc ./configure --prefix=/home/kali/bb/ --host=mips-linux-gnu 2022. 8. 20. [아두이노] 저항에 대한 개념과 계산 방법 아두이노를 통하여 회로를 구성할 때 저항을 같이 결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는데 이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주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그냥 넘어갈 수 없기에 이에 대한 이유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먼저 아두이노는 5V의 전기가 나오며, LED는 2~3.4V 사이의 전기로 동작을 하게 됩니다. 만약, 5V의 전기가 LED로 바로 가게 되면 어떤 일이 발생하게 될까요? 적정 전압보다 크게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과전압으로 인해 LED가 고장나게 될 것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저항입니다. 예제 아래 그림과 같이 5V의 아두이노, 220옴 저항, LED로 구성된 회로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 해당 적색 LED의 경우 1.8V의 전압강하를 가지고 있으며, 적정 전류는 25mA(10~25mA 동작.. 2021. 12. 6.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의 차이 그동안 미뤄놨던 임베디드에 대한 공부를 시작해볼려고 아두이노 우노에 대한 개발 키트를 구매하였습니다. 그 전에 필요한 지식들을 공부하고 있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를 고민하더라고요.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여 외부의 센서나 LED 등을 제어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외부 기기들을 제어하는 전자제품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얼핏보면 큰 차이가 없어보이는 두 제품간에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그것은 바로 운영체제의 존재 유무입니다. 아두이노의 경우에는 연결된 PC와 같은 단말기에서 프로그래밍을 한 뒤 아두이노에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반면, 라.. 2021. 12.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