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ck/Vehicle

자동차 개념 정리 - OBD(On Board Diagnostics)-II

by Becoming a Hacker 2021. 11. 2.
반응형

OBD(On Board Diagnostics)

미국 자동차 공업협회(Society of Automative Engineers: SAE)에서 온보드 진단 프로그램 표준인 OBD-I을 제정한 뒤, OBD-1.5, OBD-II라는 이름으로 발전해왔으며 1996년부터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량에 OBD-II 규격을 의무화했습니다.

 

OBD는 자동차의 전기/전자적인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기 위한 진단 규격으로 엔진 등 전자화된 부품의 정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쓰였지만, 지금은 이러한 목적 이외에도 다양한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보여주는 트립 컴퓨터로서의 인터페이스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OBD-II는 차량 핸들에서 일정 거리(2Feet) 이내에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석 근처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OBD-II의 DLC(Diagnostic Link Connector) 커넥터는 총 16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로 사용되는 핀은 9개(7개 여분)입니다. 해당 핀들을 통해 VPW-PWM, CAN 통신, ISO 방식의 3가지 표준 신호 방식을 지원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국내 차량에서는 CAN 방식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단자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Vender Option : 여분의 핀)

OBD_II DLC

설명 설명
1 Vender Option 9 Vender Option
2 J1850 Bus+ 10 I1850 Bus
3 Vender Option 11 Vender Option
4 Chassis Ground 12 Vender Option
5 Signal Ground 13 Vender Option
6 CAN (J2234) High 14 CAN (J2234) Low
7 ISO9141-2 K-line 15 ISO9141-2 Low
8 Vender Option 16 Battery Power

 

Reference

 

OBD(On Board Diagnostics) 소개

자동차를 소유하고 계신 분이라면, 시동, 혹은 운전 중에 계기판에서 <그림 1>의 엔진 점검 지시 램...

blog.naver.com

 

 

OBDII

Diagnostic Link Connector (DLC) The diagnostic link connector (DLC) on OBD II equipped vehicles is a standardized 16 pin diagnostic connector used to interface an OBD II compliant scan tool with the PCM allowing access to on-board diagnostics and live data

www.nyvip.org

 

반응형

댓글